조르바, 그리고 카잔차키스의 자유
조르바, 그리고 카잔차키스의 자유
  • 백향기 대전창조미술협회장
  • 승인 2022.05.24 12: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램이나 욕망을 버리면 진정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대전=뉴스봄] 백향기 대전창조미술협회장 = 나이가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닌데 젊은 시절 당연하다 생각하던 것이 당연해지지 않고 너무 쉬웠던 일도 어려워지고 빨리해 내던 일도 느릿느릿하게 된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예를 들면 젊은 시절 좋아하던 음식도 나이 들어 소화가 잘안돼서 삼가거나 자극적인 음식이 좋았는데 이제는 부담스러워져서 꺼리게 되는 것과 같은 일이다.

어릴 적에는 눈이 오면 미끄럼타고 재미있게 놀 생각에 기분이 들떳지만 지금은 눈이 많이 와서 하얗게 세상을 덮으면 여전히 기분이 좋아지기도 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 길이 미끄러울 것 같아 걱정하게 된다.

몸을 움직이는 것은 더욱더 그렇다. 어렵지 않게 오르던 산도 이제는 오르기에 엄두가 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자꾸 움추려드는 것 같아서 무엇이든 더욱 적극적으로 도전하고 시도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다가 문득 이것이 움추려드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나 자신을 비워가는 자연스러운 과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한다.

그런 생각을 하는데 TV에서 그리스 크레타섬을 보여주는 여행 프로그램을 방영한다. 크레타섬을 보여준다고 하니 반사적으로 한사람이 떠올랐다. 니코스 카잔차키스다.

그의 무덤은 내가 가보고 싶은 여행지 버킷 리스트 중 앞쪽 순위에 올려놓은 곳이다. 크레타섬에 있는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무덤을 가보고 싶은 것은 물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그의 묘비명 때문인데, 묘비를 직접 보고 싶은 것은 그가 쓴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고 느낀 두근거림이 워낙 강렬했기 때문이다.

아마도 조르바 처럼 살고 싶다는 생각이 강렬하게 든 것은 안소니 퀸이 조르바 역을 맡아 열연한 영화 때문에 더욱 그랬는지도 모른다.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았지만, 인간의 깊은 심연에 있는 불안이나 이해관계에 구애받지 않고 지금의 감정에 충실한 사람의 모습이 저런 것이려니 하도록 만들었던 영화이기도 하다.

어떻게 하면 조르바 처럼 자유롭게 살 수 있을까? 조르바는 크레타섬으로 가서 같이 광산 일을 하자는 제안에 이렇게 대답한다.

“일은 당신이 바라는 대로 하지요. 거기서는 당신이 내 주인이니 말이요. 하지만 산투르 말인데, 그건 좀 다른 문제요. 산투르는 짐승이요, 짐승에게는 자유가 있어야 하지요. 제임베키코, 하시피코, 펜토잘리도 출 수 있습죠. 그렇지만 처음부터 분명히 말해 두겠소. 마음이 내켜야 하오, 이 점은 확실하게 해 둡시다. 만일 당신이 나한테 연주를 강요하면 그땐 끝장이오. 결국 당신은 내가 인간이라는 걸 인정하라 이 말이요”

“인간이라니? 그게 무슨 뜻입니까?”

“자유라는 거요”

조르바에게 인간이란 자유와 동의어이다. 그런데 그 자유를 얻는 방법이 몸과 마음을 복잡하게 하지 않는 것이다. 단순화하는 것이다.

조르바는 말한다.

“나는 어제 일어났던 일 따위는 다시 생각하지 않습니다. 내일 일어날 일도 미리 생각하지 않지요. 내게 중요한 것은 바로 오늘, 이 순간에 일어나는 일입니다. 나는 자신에게 물어봅니다. ‘조르바, 지금 이 순간 자네는 뭘 하나? ’잠자고 있어‘, ’그래 그럼 잘 자게‘, ’조르바 자네 지금 뭘 하나?‘, ’여자한테 키스하고 있지‘, ’그래 그럼 실컷 해보게 이 세상에는 아무것도 없네, 자네와 그 여자밖에 없으니 실컷 키스나 하게‘”

그리스인 조르바의 저자인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묘비명은 마치 조르바를 시켜서 자신에게 해주고 싶은 이야기를 쓰라고 한 것 같다.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

백향기 作 -자연을 품은 우주 65.2X91.0cm mixed media 2021.

자신의 묘비명을 이렇게 적을 수 있다니 부럽고 놀라운 일이다. 그렇게 살았다는 이야기일까? 아니면 그렇게 살고 싶었다는 이야기일까?

카잔차키스의 묘비명처럼 살 수만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언젠가는 언젠가는 하면서 지금의 여러 가지 삶의 조건들 속에서 유보하고 양보하고 억제하면서 살고 있지 않은가?

우리 대부분이 매 순간에 충실하고 어제와 오늘을 생각하지 않으며 머뭇거리지 않고 온몸으로 지금을 받아들여 즐길 수 있으려면 얼마나 많은 용기가 필요할지 생각하게 된다. 바램이나 욕망을 버리면 진정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주변의 소소한 일상에 얽매이지 않고, 이것저것 재지 않으며, 유리함이나 불리함을 계산해 보거나 또는 장래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이리저리 따져 보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그야말로 허허롭게 살고 싶은 욕심은 젊은 때보다는 나이들면서 더 강해지는 법이다.

무엇을 바라지 않는다는 것은 비운다는 것이므로 몸과 마음을 비우고 특별한 관심에 얽매이지 않으면 두려워할 것이 생기지 않으니 자유로운 상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묘비명과 함께 필자의 시선을 끈 것은 그의 묘비에 세워진 십자가다. 그의 무덤은 거칠게 다듬은 검은 색의 돌로 윤곽을 잡고 있는데 그 앞에 기다란 나무 두 개를 끈으로 묶어서 만든 너무나도 소박하고 가느다란 십자가가 서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 십자가는 나무의 굵기에 비해 길이가 꽤 길어서 오히려 무게를 덜어내고 빈약한, 그래서 위태로워 보인다. 그 빈약함이 무욕의 마음을 표현하는 듯하다.

이 십자가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고, 그래서 아무것도 두렵지 않으며 그래서 자유로운 조르바를 형상화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형태나 볼륨의 비움이 가져다주는 결과일 것이다. 묘비명에 너무 잘 어울리는 조형물이다.

카잔차키스의 무덤에 서 있는 소박하기 이를 데 없는 나무 십자가를 보다가 그 형상이 마치 알베르토 자코메티의 인체상과 이미지가 겹쳐져 보이는 듯하다. 모든 것을 다 덜어낸 가느다란 뼈대만 남은 자코메티의 인체상은 군더더기를 모두 덜어낸 상태, 불필요한 모든 것을 배제하고 본질만 드러낸 상태를 보여준다.

그 빈약함으로 인한 비움의 미학이 카잔차키스 묘지의 가느다란 나무 십자가와 유사한 이미지로 겹쳐 보인 것 같다. 비움의 미학을, 그래서 얻어지는 자유를 가르쳐 주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물론 자코메티의 ‘걸어가는 사람’이 인간의 불안이나 고독, 소외 등을 실존적으로 표현했다든가, 그럼에도 계속 걸어가야 하는 숙명을 인간의 본질로 해석했다든가 하는 다양한 해석들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비평가들의 논의와는 별개로 필자에게는 군더더기가 배제된 형상 자체가 주는 비움, 본질의 표현이 이를 통해 얻어지는 자유로운 상태로의 해방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언제나 항상 필자의 문제로 돌아온다. 내 그림은 얼마나 비워져 있을까? 불필요한 군더더기가 여전히 많지 않은가? 그림을 그리면서 나 자신이 인생의 다양한 얽힘에서 얼마나 자유로워졌는가?

그리고 다시 한번 묘비명을 기억해 본다.

“나는 아무것도 바라지 않는다.

나는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나는 자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