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현실은 인프라 빈곤, AI인재 빈곤. 한국 인재유출 세계 3위
【세종=뉴스봄】 김창견 기자 =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종민 의원(세종시갑)은 24일 산자중기위 종합감사에서 “GPU 국가 직접지원 ‘AI고속도로’를 만들어 AI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라고 짚었다.
제22대 산자위 전체회의와 국정감사에서 국가 AI경쟁력을 직접적으로 짚은 것은 김 의원이 처음이다.
김 의원은 “과방위는 AI기본법 11건이 계류 중이고, 산자위‧산자부 는 AI법안 발의 0건, AI기업 65%가 스타트업이지만 중기부는‘국가인공지능위원회’위원이 되지 못했다”라고 언급하며 미래 핵심 산업임에도 AI가 어디서도 다뤄지지 못함을 짚었다.
김 의원은 AI기술의 핵심으로 불리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보유 수준이 경쟁력을 좌우하는 현실을 언급하며 “24년 현재 Meta(페이스북의 모회사)가 H100을 35만개, 한국이 2000개를 보유한 상태”라며 “그런데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발표한 정부의 AI컴퓨팅인프라 목표가 2030년 3만개 수준이다. 대통령실이 발표한 AI 3대 강국에 갈 수 있나”라고 따져물었다.
이어 김 의원은 “글로벌 빅테크들의 한 회사들이 수십만개의 GPU로 생성형AI 산업을 주도하는데 한국정부는 목표치조차 저조하다”면서 “오픈AI가 28년도까지 GPU 280만개 수준의 AI 데이터센터를 만든다고 한다. 한국과 비교가 안 되는 완전한 초격차”라고 꼬집었다.
AI인프라 빈곤은 AI인재 빈곤으로 이어지고 있다. 국내 AI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애로사항으로 기업에 부족한 인력수는 20년 1609명에서 23년 8579명으로 약 5배 늘었다. AI 관련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응답 역시 20년 29%에서 23년 53%로 증가했다.
한국은 석‧박사급 AI 인재유출이 심각한 세계 3위 국가이다. GPU의 연산 처리속도가 AI 기술 발전을 좌우하는 만큼, 글로벌 빅테크들은 컴퓨팅인프라 확보를 이유로 AI인재 스카우트 전쟁 중이다.
김 의원은 AI기업에 절실한 서버인프라 확충을 국가가 직접지원하자고 했다. “60년대는 경부고속도로, 90년대는 정보고속도로가 있었고, 24년 현재는 AI고속도로가 필요한 때”라며 “현장에서는 GPU 최소 1만개면 대학‧연구실‧스타트업이 AI기술을 키울 인프라를 확보할 수 있다. 1만개 5000억원의 직접지원으로 AI고속도로를 놔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표적인 GPU인 엔비디아 H100의 경우 대당 5000만원 수준으로 스타트업에서는 절실하지만 구하기가 어렵다.
김 의원은 또한 초거대AI모델 개발에는 국가적 역량 총결집이 중요하며, AI로 전력 수요 폭증이 예상되는 만큼 재생에너지 공급계획의 획기적 개선으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정부가 보장해야 한다고 했다.
안덕근 산업부장관은 “AI 관련 산업정책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연내 설명을 드릴 기회가 있을 것 같다”라고 했으나 “정확한 구체적인 수치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라고 답변했다.
이에 김 의원은 “반드시 내년도 예산을 장관이 책임지고 반영해야 한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