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장의 위신(威信) 추락하다
대법원장의 위신(威信) 추락하다
  • 김창견 기자
  • 승인 2021.02.12 18: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의로운 법조 최고 인사의 거짓말…도덕적 사회 통념적 신뢰 무너져

[뉴스봄=김창견]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Right Now, Wrong Then).

지난 2015년 9월 개봉된 홍상수 감독·각본, 정재영·김민희 주연의 영화 제목이다.

이 영화가 종종 회자 되는 이유는 스토리는 논외로 하더라도 제목에서 전해주는 늬앙스(nuance)로 인한 변명의 당당함 때문이리라.

하지만 ‘지금’이 또다시 ‘그때’가 될 때도 당당할 수 있을까?

누구나 현재 위치에서 자기 모습을 합리화하려는 자기애적 보호 본능이 내재 돼 있을 것이다.

문제는 ‘그때’다. 상황에 따라 모호하기도 하겠지만 ‘그때가 틀리다’는 단정은 그때의 것은 거짓이란 것을 스스로 인정하는 것과 다름 아니다.

하지만 ‘지금’이 또다시 ‘그때’가 된다하더라도 변함없이 맞다 한다면 그 ‘참’은 누구에게나 충분한 공감을 얻을 일이다.

최근 국가 사법부의 수장인 대법원장이 거짓말 논란에 휩싸여 사법부뿐 아니라 뭇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다. 대법원장이란 위치는 법치주의의 최고봉으로서 정의로 대변되는 최고 존엄성으로 존경받는 자리다.

현대 사회에서 올곧은 선비정신을 엿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조직 중 정의로운 법 집행의 최고 자리에 있는 인사의 거짓말은 도덕적으로도 사회 통념적으로도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한심한 처사임은 틀림없다.

그러기에 국민은 무너져내린 신뢰에 질타보다 실망이 앞서 세태의 부조리에 망연자실할 뿐이리라.

거짓말의 사전적 설명은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것처럼 꾸며대어 말을 함. 또는 그런 말’이다. 즉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그 자신이 사실과 다르게 말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아무리 사회에 거짓말이 팽배해 있다 해도 사법부 수장의 거짓말은 영 낯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거짓말, 그것은 선의의 거짓말이라 할지라도 사회 공평성과 위무에 평안을 추구하는 또 다른 자기 합리화로 양심의 척도에 어긋나는 일이다.

누구나 살면서 자신의 언행을 정당화하려 한다. 분명한 것은 양심에 꺼릴 것이 없다는 전제가 뒤따라야 한다는 사실이다.

1년에 단 하루 4월1일 만우절(April Fools' Day)의 경우도 악의 없는 거짓말로 서로 장난을 치면서 노는 일상의 유머 그 이상은 아니다.

우리 역사에서 유일하게 국민에게 사랑받고 있는 거짓말이 있다면 지금부터 10년 전 2010년 발매된 김진룡 작사·작곡의 트로트곡 조항조의 ‘거짓말’이란 노래뿐이다.

<5> 현학 시상(詩想)

첫 비

촉촉이 대지를 적시는

첫 비 내리면

창에 맺힌 빗방울처럼

수많은 상념 가운데 하나

잠시 잊은 얼굴

사무친 그리움으로 떠오른다.

오호라! 복받치는 그리움이여!

지금 내리는 봄비

두터운 흙살에 스며

이 마음까지 적셔오면

긴 동면의 잠든 꿈 흔들어

멈췄던 심장 다시 뛰게 한다

타락! 타락! 타락!

 

봄비

문득

눈물 빛 하늘 보면

소산하게 되살아나는 임

잊었던 시간들이 점점이 하늘 가득 차오른다.

잊고 살았던…

죄스러움에 고개 돌려보아도

그리움은 시 되어

어느새 마른 가슴 적셔든다.

이제는 익숙해질 만도 한데

너무 멀리 와 있는데

손에 만져질 듯

임은 이렇게 가까이 있었구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