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에 담긴 진심은 언젠가 통한다
예술에 담긴 진심은 언젠가 통한다
  • 백영주 편집위원
  • 승인 2023.09.28 0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백영주의 화가들의 수다] 마크 로스코_무제
마크 로스코 作, ‘무제’, 1953.

[대전=뉴스봄] 백영주 갤러리봄 대표 = 2015년 3월경에 있었던 마크 로스코의 내한 전시를 기점으로 인터넷 상에서 그의 작품에 관한 논란이 일었다. ‘이렇게 단순한 걸 누가 못 그리나’ ‘이게 왜 세계적으로 대단한 작품인가’라며 현대미술의 풍조를 비웃는 이들까지 있었다.

하지만 작품 안에 담긴 예술가의 진심을 작품을 직접 보며 느낀다면, 절대 그런 말들을 꺼낼 수 없었을 것이다.

러시아 출신의 마크 로스코는 어릴 때 미국으로 이주한 뒤, 예일대를 졸업하고 뉴욕에서 아트 스튜던트 리그에 진학한 것이 그가 받은 정식 미술수업의 전부다. 그의 초기작은 표현주의적 풍경화, 풍속화, 정물화 등으로 구성됐다.

2차 세계대전 동안 유럽의 많은 예술가들이 미국으로 이주해 왔는데, 그중에는 초현실주의 운동에 가담했던 이들도 포함돼 있었다. 이때부터 로스코는 집단 무의식에 대한 융의 이론을 자신의 작품에 적용시키기 시작했다.

또 자신의 예술 방향을 더욱 추상적인 양식에 맞춰 갔다. 자신의 예술이 인간조건의 비극성을 표현하기를 원했던 그는 “이제 누구도 형상을 훼손하지 않고는 사용할 수 없는 때가 왔다”라고 말했다.

1940년대 즈음부터 로스코는 면 분할된 영역 속에 위치한 반복되는 형태와 심하게 분절된 인간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작품 ‘무제’와 같은 일련의 회화에서 그리스, 로마 신화를 탐구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가 진행될수록 마크 로스코의 이미지는 더욱 상징성을 띠고, 신체적 변형을 그린 회화로 이행하면서 추상화에 더욱 근접해 갔다. 이 그림들은 초현실주의에서 영감을 받아 종이와 캔버스를 이용해 그려진 많은 그림들의 일부분이다.

1940년대 말 회화에서 재현적 형상을 완전히 제거하기로 결심한 로스코는 이때부터 오늘날 가장 잘 알려진, 1950년대 이후의 풍부한 색채 추상 작품들을 그리기 시작했다. 드디어 그는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구축해 ‘단순한 표현 속의 복잡한 심정’이라는 그의 이상을 실현했다.

마크 로스코 作, ‘무제’, 1970.

외관상 단순해 보이는 이 그림들은 사실 굉장히 복잡한 작업과정을 내포하고 있다. 그가 담아낸 충만한 색채는 어떤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동시에 명상에 빠지게도 한다.

마크 로스코 전에 가서는 그가 주장하는 관객과의 거리 45cm를 유지하며 작품을 바라보았다. ‘무제’라 이름붙인 수많은 작품을 한 점씩 그 앞에 서서 찬찬히 응시하다 보면 유화물감으로 덧칠된 사각형 속에 겹쳐진 또 다른 색이 내비치고, 하나의 색으로 칠해진 것처럼 보였던 캔버스가 선명하게 경계를 드러낸다.

또는 강렬한 붉은색이 감정을 뒤흔들기도 한다. “회화란 경험에 관한 것이 아니라 경험 그 자체”라고 주장한 그는 자신의 작품이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길 바랐다.

평론가들에 의해 추상표현주의의 거장이라 칭송받아도 본인은 “나는 비극, 아이러니, 관능, 운명 같은 인간의 근본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데에만 관심이 있다”는 말로 명확히 선을 그었다.

인생의 후반기를 모두 ‘예술을 통한 경험의 전달’에 걸었던 거장도 끝내 예술적 좌절에서 온 슬럼프를 이기지 못하고 자살했다. 그만큼 자신이 느낀 감정을 작품을 통해 온전히 전달한다는 것은 어려운 길이다.

표현하고 전달하려는 그 무언가를 위해 화가가 한 가지 색을 고를 때도 얼마나 숱한 고민을 거쳤을지는 직접 작품을 보아야만 제대로 느낄 수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